소방 이야기/소방 이론, 소방 법규, 기타
공장지역, 건축물, 설비 지역별 소화용수량 기준 (Fire Water Demand_feat. KOSHA GUIDE P-43-2012)
o개과천선o
2023. 2. 10. 08:52
반응형
반응형
공장지역, 건축물, 설비 지역별 소화용수량 기준
(feat. KOSHA GUIDE P-43-2012)
<부록 1> 소화용수 요구량 평가
1. 공장지역 구분도
2. 지역별 소화용수 요구량
2.1 지역 1 : 창고지역
<표 1> 창고지역 소화용수량
- 지역 1의 총 소화용수 요구량은 540㎥/hr + 54㎥/hr + 273㎥/hr = 867㎥/hr이다.
2.2 지역 2 : 사무실지역
- 지역 2의 총 소화용수 요구량은 546㎥/hr이다.
2.3 지역 3 : 저장탱크지역(탱크, 직경 10 m × 높이 10m)
- 지역 3의 총 소화용수 요구량은 31㎥/hr + 240㎥/hr + (236㎥/hr x 2) = 743㎥/hr이다.
2.4 지역 4 : 공정설비지역
- 지역 4의 총 소화용수 요구량은 390㎥/hr + 600㎥/hr + 120㎥/hr =1110㎥/hr이다.
3. 공장 내 필요 소화용수
지역별 소화 용수량 중 지역 4의 소화용수량이 1110㎥/hr로서 가장 크다.
따라서 상기 공장에서는 1110㎥/hr 이상의 소화용수가 필요하다.
소방위의 직위는 어느정도인가?
소방 안전의 필요성
소방직의 종류
소방원론 공부하기
소방서의 역할
소방공사 시 주의사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