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톰과 제리의 일상 이야기/내맘정보공유

NPS 국민연금의 모든 것 – 100문 100답 - 1탄 국민연금제도/기금운용

by o개과천선o 2023. 7. 4.
반응형
반응형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 노령연금, 장애연금, 국민연금,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 기금운용

NPS 국민연금의 모든 것 – 100문 100답

1탄 - 국민연금제도/기금운용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 노령연금, 장애연금, 국민연금,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 노령연금, 장애연금, 국민연금,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 노령연금, 장애연금, 국민연금,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 기금운용

 

[목  차]

<일반>
Q1-1. 국민연금 제도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
Q1-2. 국민연금에 꼭 가입해야 하나요?
Q1-3. 국민연금 언제까지 내고 언제부터 얼마나 받나요?
Q1-4.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Q1-5.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이 어떻게 다른가요?
Q1-6. 국민연금 수급자인데 기초연금은 받을 수 없나요?
Q1-7. 국민연금에서 대부는 받을 수 없나요?
Q1-8. 사회보장협정 체결로 인한 혜택은 무엇인가요?
Q1-9. 국민연금의 출산크레딧과 군복무크레딧이란 무엇인가요?
Q1-10. 실업크레딧 제도란 무엇인가요?
Q1-11 .국민연금 노후 준비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Q1-12.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기금 운용>
Q1-13. 기금운용본부에서는 무슨 일을 하나요? 현재까지 조성된 기금 규모와 운용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Q1-14. 국민연금 기금은 투명하게 운용되고 있나요?
Q1-15.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되면 나중에 연금을 받지 못하나요?
Q1-16. 대체투자가 무엇이고 국민연금은 대체투자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Q1-17.뉴스에 많이 나오는 국민연금기금의 책임투자, 스튜어드십 코드가 무엇인가요?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일반>

Q1-1. 국민연금 제도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

국민연금은 노후 소득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회보장제도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더불어 국가의 사회안전망 역할

 

국민연금은 노후 소득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이란 소득이 있을 때 매월 꾸준히 보험료를 냈다가 나이가 들어 생업에 종사할 수 없어졌거나,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으로 장애를 입거나 사망하였을 때 매월 연금을 지급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소득보장제도입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은 늘어나는 반면, 출산율은 낮아지고 노인 인구 비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스로 노후를 준비할 여유가 있는 분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대부분의 노인이 노후빈곤층으로 전락하여 어려운 노후를 보낼 수 있기에,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자 국가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로 국민연금제도입니다.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제도는 1889년 독일에서 최초로 시작되었고 현재 170여개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1월 1일, 근로자가 10인 이상 근무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1999년 4월 1일에는 전 국민이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2년 1월 말 기준, 국민연금 수급자는 593만 명을 넘어섰고 가입자도 2,211만 명으로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더불어 국가의 기본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국민연금 홈페이지(https://www.nps.or.kr) 연금정보의 "알기 쉬운 국민연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1-2. 국민연금에 꼭 가입해야 하나요?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국민연금 가입 대상

근로자를 1명 이상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의무 가입 대상

 

네.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국민연금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보험료를 냈다가 나이가 들어 노후에 소득이 없을 때 국가에서 매월 연금을 지급하여 생계를 보장하고 국민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로, 노후소득보장을 위하여 국가에서 시행하는 공적연금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모든 분들이 개인적으로 노후준비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론, 여유가 있는 분들은 노후에도 큰 어려움이 없겠지만, 출산율이 낮아지고,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 별 준비 없이 노후를 맞이하면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됩니다. 소득이 없을 경우 기초생활을 유지하기도 어려울뿐더러,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세대는 많은 세금을 내야 하는 등 사회적 비용도 증가하게 됩니다.

위와 같이 고령화에 따른 노후 문제는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국가에서 전 국민을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게 하여 노후를 준비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연금제도를 실시하여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득재분배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는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부모세대가 자녀세대보다 좀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는 사회통합적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사업장에서 근로하는 경우 국민연금 가입은 근로자에게는 권리이면서 사용자에게는 의무입니다.

따라서 근로자를 1명 이상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의무적으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Q1-3. 국민연금 언제까지 내고 언제부터 얼마나 받나요?

60세 되기 직전까지 납부, 63세부터 연금 수령(출생연도별로 61~65세부터 수령)

본인의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가입 중 평균소득액에 따라 연금수령액 달라짐

 

국민연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이면 가입대상이 되고,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웠을 때 수급 연령이 되면 노령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을 받으시는 연령은 1952년생까지는 60세였습니다. 하지만 고령화 추세를 반영하여 1953~1956년생은 61세, 1957~1960년생은 62세, 1961~1964년생은 63세, 1965~1968년생은 64세, 그리고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노령연금을 수령하도록 1998년 말에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이때 받으시는 연금액은 본인의 가입기간 및 가입 중 평균소득액,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액을 기초로 계산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국민연금 홈페이지(내 연금 알아보기) 또는 모바일 앱「내 곁에 국민연금」에서 예상연금액을 조회하시어 향후 받게 될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인증 필요)

참고로, 2022년 12월 기준 20년 이상 가입자들의 평균 노령연금 수령액은 월 98만원 정도 입니다.

이 밖에 소득이 A값(2023년 기준 2,861,091원) 이하인 경우 현재 59세부터 조기노령연금을 받으실 수도 있고(출생연도에 따라 조기연금수급 가능연령 상이함), 또한 장애를 입거나 사망했을 경우 일정요건 충족 시 장애연금이나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08년 1월 1일 이후 둘 이상의 자녀를 얻었거나(출산, 입양 등) 현역병 또는 사회복무 요원 등으로 군복무를 한 경우에는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드리고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Q1-4.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국민연금은 국가가 운영하는 의무적 연금제도, 개인연금은 사적금융기관이 운영하는 선택적 연금상품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은 매월 일정액을 납부하여 노후에 연금으로 받는다는 원리는 같지만 국민연금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개인연금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가입한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다른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국민연금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지급하는 반면 개인연금은 약정금액을 기준으로 지급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즉, 국민연금은 과거에 냈던 보험료를 연금을 받는 시점의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연금액을 산정하기 때문에 그동안의 물가상승분이 반영됩니다. 이뿐만 아니라, 연금을 받는 중에는 매년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만큼 연금을 인상하여 지급하기 때문에 실질가치가 항상 보장됩니다. 반면, 개인연금은 물가가 상승하여도 실질가치가 보전되지 않아 받는 연금액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납부한 금액 대비 실제 수령액을 보면 국민연금이 일반 개인연금보다 훨씬 많습니다.

두 번째, 국민연금은 사망 시까지 평생 받고, 사망한 후에는 생계를 함께한 배우자, 자녀 등 유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연금은 ‘일정기간 지급’과 ‘평생 지급’ 중 택할 수 있으며, 사망할 경우 지정인 또는 법정상속인에게 약정금액이 지급됩니다.

세 번째, 개인연금은 중도해지가 가능하나 국민연금은 불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령·장애·사망에 대비하여 사회구성원 모두가 다 같이 참여하는 사회보장제도로 본인이 희망한다고 하여 납부한 금액을 일시에 돌려받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국외로 이주하거나, 국민연금에 가입했던 사람이 사망하였으나 유족연금을 받을 가족이 없는 등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일시금을 지급합니다.

공통점으로는, 국민연금은 개인이 납부한 금액에 대하여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가 가능하며 개인연금도 상품에 따라 일정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모두 소득공제된 금액에 대해서는 연금을 받으실 때 소득세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Q1-5.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이 어떻게 다른가요?

가입대상, 납부하는 보험료율 및 지급받는 연금액이 다름

공무원연금에는 퇴직금, 재해보상급여도 포함

 

우선 가입대상이 다르고, 납부하는 보험료율 및 받는 연금액도 다릅니다.

우리나라 공적연금제도에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민연금 외에 공무원연금(1960년), 군인연금(1963년), 사립학교교직원연금(1975년) 등이 있습니다. 국민연금(1988년)은 이보다 늦게 도입되었으며 농어민(1995년), 자영업자(1999년)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연금제도는 도입시기와 배경이 다르고, 보장하는 범위도 다릅니다. 특히, 공무원연금 등 특수직역 연금에는 국민연금제도와 달리 퇴직금, 재해보상급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컨대 일반기업의 근로자들이 퇴직 시 퇴직금을 받는 대신 공무원들의 퇴직금은 공무원연금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Q1-6. 국민연금 수급자인데 기초연금은 받을 수 없나요?

65세 이상, 소득하위 70% 수급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

국민연금 수급자도 기초연금을 동시에 수급가능

 

기초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할 경우 국민연금 수급자도 기초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국민연금 노령연금이나 분할연금 수급자 중 국민연금 급여액이 월 484,770원을 초과하게 되면 기초연금액이 최대 절반까지 감액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중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소득 하위 70%)인 분들을 대상으로 지급하나, 공무원연금 등 직역연금 수급자 및 배우자는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①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②
    • 월 소득평가액 = (상시근로소득 - 108만원) x 0.7 + 기타소득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일반재산 - 기본재산액) + (금융재산 - 2,000만원) - 부채} × 재산의 소득환산율(연 4%) ÷ 12개월] + 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
  • ** 2023년도 선정기준액은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2만원입니다.

※해당 연도 선정기준액은 노인가구의 소득·재산 수준과 생활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결정·고시하며,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

또한,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경우와 기초연금 수급자와 비수급자 간에 소득역전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득인정액과 기초연금액을 합산한 금액이 선정기준액을 초과할 경우에는 기초연금액 일부를 감액한 후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기초연금 신청방법, 수급대상 여부, 예상 기초연금액 등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국민연금 콜센터[국번 없이 1355(유료)] 또는 관할 지자체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1-7. 국민연금에서 대부는 받을 수 없나요?

2012년 5월부터 연금수급자를 대상으로 노후긴급자금대부 실시

전·월세보증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재해복구비의 긴급자금이 필요한 경우 일정 한도 내에서 대부

 

국민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노후긴급자금대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만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에게 전·월세보증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재해복구비의 긴급한 자금이 필요한 경우 일정 한도 내에서 낮은 금리로 대출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과 실질적인 복지 혜택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사회조사 결과에 의하면, 60세 이상 고령자 ⅔ 이상은 긴급한 자금을 빌릴 일이 생길 때 도움을 받을 사람이 없고, 금융기관에서 긴급자금을 빌리더라도 낮은 신용도로 인해 고금리의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국민연금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민연금수급자를 대상으로 노후긴급자금대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노후긴급자금대부>

  1. 대 상 : 60세 이상 국민연금수급자
  2. 대부금액 : 연간 연금수령액의 2배 이내에서 실 소요비용 (최고 1,000만 원 한도)
  3. 대부용도 : 전·월세보증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재해복구비
  4. 신청기한
    • 전·월세보증금 : (신규) 임차개시일 전·후 3개월 이내 (갱신) 갱신계약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의료비 : 진료일로부터 6개월 이내
    • 배우자 장제비 : 사망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재해복구비 : 재해발생일 또는 재난지역 선포일로부터 6개월 이내
  5. 대부이자 : 5년 만기 국고채권 수익률(2023년 2분기 연 3.48% 분기별 변동금리)
  6. 대부상환 : 최대 5년간 원금균등분할상환(미거치, 거치 1~2년 중 선택, 최장 7년)

※ 세부사항은 국민연금콜센터(국번없이 1355 유료)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1-8. 사회보장협정 체결로 인한 혜택은 무엇인가요?

해외 진출기업 및 파견근로자 등의 사회보험료 이중부담 문제 해결

가입기간 합산을 통해 연금수급권 확보

 

사회보장협정은 협정 체결국 간 연금제도의 서로 다른 점을 상호 조정하여 양 체결국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첫째, 이중가입이 면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협정 체결 전 상대국에 단기 파견된 근로자는 양국 연금제도에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지만, 협정이 체결되면 본국의 연금제도에만 가입하고 상대국 연금제도 가입은 면제되어 재정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각국의 연금수급을 위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양국의 가입기간을 합산하여 국가별 최소 가입기간 이상이면 연금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회보장협정이 체결된 미국의 예를 들면, 협정 체결 전에는 미국 사회보장세를 9년 동안 납부하고 국민연금 보험료를 4년 동안 납부한 경우, 양국 모두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협정 체결 이후부터는 각 납부기간에 대해 양국에서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단, 양국의 가입기간을 합산할 때 중복된 기간이 있다면 한 번만 인정됩니다.

셋째, 협정이 체결되면 연금수급권 취득이나 급여 지급 등 상대국 법령 적용에 있어서 상대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받습니다.

넷째, 협정 체결국 간에는 연금 급여를 해외로 제한 없이 송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국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급여가 삭감되지 않고 지급될 수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 사회보장협정 시행국 [2023년 1월 기준 총 38개국]


 


Q1-9. 국민연금의 출산크레딧과 군복무크레딧이란 무엇인가요?

2008년 1월 1일 이후 둘째 자녀 이상을 얻거나 병역의무를 이행했을 때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제도

 

출산크레딧·군복무크레딧이란 2008년 1월 1일 이후 둘째 자녀 이상을 얻거나 병역의무를 이행했을 때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한 때나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받아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출산크레딧]

2008년 1월 1일 이후에 둘째 자녀 이상을 얻은 경우(출산, 입양 등)에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제도로,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축소하는 한편,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출산을 장려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자녀가 2명인 경우에는 12개월,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에는 둘째 자녀에 인정되는 12개월에 셋째 자녀 이상 1명마다 18개월을 추가하여 최장 50개월까지 가입기간을 추가 인정하는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가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합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군복무크레딧]

2008년 1월 1일 이후에 입대하여 병역의무를 이행한 사람에게 6개월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는 군복무 기간 중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못한 사람에게 군복무 기간 일부를 가입기간으로 인정하여 노령연금 수급 기회를 확대하거나 노령연금 수령액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가에서 전부 부담하고 있습니다.

다만, 군복무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공무원연금법 또는 군인연금법 등의 타공적연금 재직(복무)기간에 산입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 군복무크레딧 인정대상 : 현역병, 전환복무자,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국제협력봉사요원, 공익근무요원 등

 

Q1-10. 실업크레딧 제도란 무엇인가요?

2016년 8월 1일 시행된 제도로 구직급여 수급자가 연금보험료 납부를 희망하는 경우,

최대 1년간 보험료의 75%를 지원하고 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추가 산입하는 제도

 

2016년 8월 1일 부터 시행된 ‘실업크레딧’은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실업기간에 대하여 구직급여 수급자가 희망하는 경우,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고 그 기간을 가입기간으로 추가 산입하여 국민연금 수급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입니다.

실업크레딧은 2016년 8월 1일 이후 구직급여를 받게 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실직자로 국민연금보험료를 1개월 이상 납부한 이력이 있는 가입자(가입자였던 자 포함)가 지원대상입니다.

다만, 일정수준 이상의 재산 보유자 및 고소득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은 제한하여 저소득층 중심의 실질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 재산 및 소득 제한기준(2023년 1월 현재)

  • [재산기준]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이 6억 원 초과
  • [소득기준] 연간 종합소득(사업소득 및 근로소득 제외)이 1,680만원 초과

연금보험료의 25%를 본인이 부담하는 경우에 한해 국가에서 연금보험료의 75%를 지원하게 되며, 1인당 구직급여 수급기간 중 생애 최대 12개월까지 지원됩니다.

※ 실업크레딧 재원 : 고용부 일반회계 25%, 국민연금 기금 25%, 고용보험 기금 25%

연금보험료는 인정소득을 기준으로 납부해야 하며, 인정소득은 실직하기 직전에 받았던 3개월 간 평균소득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최대 70만원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실직 전 급여가 140만원이었다면 이 금액의 절반인 70만원이 보험료 부과 기준이 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이므로 6만 3천원이 월 보험료이며, 가입자가 이 금액의 25%인 15,750원만 내면 47,250원을 지원받아 1개월의 가입기간이 추가됩니다.

실업크레딧은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고용노동부 고용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구직급여 종료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5일 이전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Q1-11 .국민연금 노후 준비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국민의 체계적인 노후준비와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해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4대 분야별로 제공하는 진단, 상담, 교육, 관계기관 연계 및 사후관리 서비스

 

노후준비서비스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는 노후준비가 시급한 중장년층이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사전 예방적 성격이 강한 서비스 특성상 미리 준비를 시작할수록 효과가 높으므로 젊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노후준비서비스의 종류는 진단, 상담, 교육, 관계기관 연계, 사후관리서비스로 나뉩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공단의 노후준비서비스는 노후준비 종합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며, 필요시 관계기관의 다양한 전문서비스 연계를 통해 노후준비를 위한 종합적인 지원을 하고 있어 타 공공·민간영역의 개별적·부분적 서비스와 구별되는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상담이 필요한 경우 가까운 공단 지사(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에 방문하여 대면 상담을 받거나, 내연금 사이트(https://csa.nps.or.kr)에서 종합재무설계, 간단재무설계, 목적자금설계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교육을 희망하는 개인은 ‘내연금 사이트’에서 강의 목록을 확인한 후 신청할 수 있으며, 단체·기업(기관) 등은 전문강사와 교육 일정·내용 등을 조율한 후 출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Q1-12.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예상연금액, 미납내역, 연금 청구, 반·추납 신청, 다양한 증명 발급 등 96종 서비스

공공기관 최초! 주민등록등·초본 등 14개 타 기관의 50종 증명서 발급·제출 서비스

 

「내 곁에 국민연금」모바일 앱을 통해 원하는 연금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예상연금액, 가입내역 등을 조회하고 지역·임의(계속)가입자 취득신고 등 각종 국민연금 신고·신청과 다양한 증명 발급 등의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증명 발급' 메뉴에서는 국민연금의 가입증명서 등 8종과 타 기관의 주민등록등본 등 50종의 전자증명서(전자문서지갑) 발급·열람·제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로그인은 인증서(공동·금융·카카오페이·네이버) 및 간편인증(페이코·통신사패스· 삼성패스·카카오톡·KB은행·신한은행·네이버) 11종을 통해 선택하여 본인 인증합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모바일 앱 제공 96종 서비스 ('22.12월말 기준)>

※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은 스마트폰에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원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기금 운용>

Q1-13. 기금운용본부에서는 무슨 일을 하나요? 현재까지 조성된 기금 규모와 운용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공단 기금운용본부는 국민연금법에 따라 장관이 공단에게 위탁한 기금의 관리·운용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2022년 12월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은 연금보험료와 운용수익금 등으로 조성된 1,190조 원 중 연금급여 등으로 299.5조 원이 지출되어 890.5조 원이 적립되어 있음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변화하는 금융·경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연금기금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운용하기 위하여 국민연금공단 내 설치된 기금운용 전담 조직입니다.

국민연금 기금 규모의 급속한 증가와 투자환경 등 기금운용 여건의 변화에 따라 1999년, 공단은 기금운용본부를 설립하여 기금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운용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은 2003년 100조 원, 2010년 300조 원, 2015년 500조 원에 이어 2020년 800조 원을 돌파하여, 2022년 12월 말 기준으로 890.5조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기금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가 정한 운용지침에 따라 금융 부문과 복지 부문, 기타 부문으로 나누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의 금융 부문 포트폴리오는 국내채권 34.9%(311.2조 원), 해외채권 7.1%(63.3조 원), 국내주식 14.1%(125.4조 원), 해외주식 27.1%(240.9조 원), 대체투자 16.4%(146.2조 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로 2022년 12월 말 451.3조 원(잠정)의 누적 운용수익금을 내어 기금적립금이 890.5조 원에 이르렀습니다.

국민연금 기금은 해외에서도 운용 역량을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세계적인 부동산 투자 전문지인 IPE Real Asset誌로부터 ‘아태지역 글로벌 투자자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금융투자 권위지인 The Asset誌로부터 ‘올해의 연기금 상’의 수상 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공단은 다양한 해외 언론으로부터 운용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Q1-14. 국민연금 기금은 투명하게 운용되고 있나요?

국민연금 기금의 관리 운용에 대하여 내·외부 감사 및 내부통제가 제도화 되어 있음

아울러, 기금운용지침에 따라 주요 투자 현황 및 수익률, 거래기관 등에 대하여 공단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에 공시하고 있음

 

국민연금제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운용되는 만큼 제도와 기금운용에 대한 내부와 외부의 감사 및 내부통제가 제도화되어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은 내부적으로 준법감시인을 별도로 두어 기금운용의 내부통제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국민연금공단 감사실은 정기적인 감사와 일상감사를 통해 자금운용계획에 맞추어 운용이 되고 있는지, 업무상 위법 사항이 없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습니다. 또한 국회의 국정감사와 감사원의 기관감사를 통해 기금운용 및 경영관리실태와 관련하여 상시적인 감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금운용본부는 국민의 노후자금을 목적에 따라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기금운용지침에 명시한 기금운용원칙에 따라 국민연금기금을 성실하게 관리·운용하고 있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44; 노령연금&#44; 장애연금&#44; 국민연금&#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44; 기금운용
※ 국민연금 기금 운용지침

한편, 국민연금공단은 기금운용지침에 따라 자산군별 포트폴리오 운용 현황 및 수익률 등 별도로 정한 사항을 연금 가입자와 수급자,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기금의 운용현황과 방향을 투명하고 쉽게 알 수 있도록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https://fund.nps.or.kr/)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Q1-15.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되면 나중에 연금을 받지 못하나요?

국가는 연금 급여가 안정적·지속적으로 지급되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함 (국민연금법 제3조의2)

2022년 12월 말 기준 적립된 기금은 약 890.5조 원이며, 1988년부터의 총 누적 운용수익금은 약 451.3조 원(잠정)

 

국민연금이 안정적·지속적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국가의 의무이므로 지급 중단 우려는 없습니다.

국민연금 기금 소진 관련 기사를 보신 것 같습니다. 5년마다 한 번씩 하는 재정계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언론에서 ‘기금 소진’ 부분을 부각시키다보니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적잖은 오해를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재정계산 결과는 현재의 보험료율(소득의 9%)과 미래의 경제성장률 및 평균수명, 출산율 등을 고려했을 때 2057년경(제4차 재정계산 기준)에 기금이 소진된다는 것으로, 여러 상황이 변동되면 그 결과는 달라질 것입니다. 그 예로, 2007년 연금법 개정으로 기금소진 연도는 2047년에서 2060년으로 13년이 연장되었습니다. 이렇게 향후 재정계산 결과에 따라 정부에서 기금이 소진되지 않도록 그 방안을 마련하게 됩니다.

국민연금이 안정적·지속적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국가의 의무이므로 연금을 지급할 것입니다. 연금지급은 국가의 생존이 달린 문제로 이미 오래전 연금제도가 도입된 서구에서도 정부의 보조, 부과방식으로의 전환 등의 방법을 통해 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은 약 890.5조 원이며, 1988년부터 2022년 12월 말까지 기금운용으로 약 451.3조 원(잠정)의 운용 수익을 얻었습니다. 국민연금은 가입자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기금운용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하겠습니다.

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NPS국민연금의 모든 것 100문 100답_미납&amp;#44; 노령연금&amp;#44; 장애연금&amp;#44; 국민연금&amp;#44; 개인연금 공무원연금_국민연금제도&amp;#44; 기금운용

 

Q1-16. 대체투자가 무엇이고 국민연금은 대체투자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대체투자는 전통적인 투자상품과 다른 위험-수익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에 기여하는 자산군으로, 국민연금은 해외투자 및 대체투자 확대를통해 투자 다변화를 실현

 

대체투자는 주식, 채권 등 전통적인 투자상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쓰는 개념으로, 주식과 채권을 제외한 모든 투자상품이 대체투자상품에 해당합니다. 국민연금은 2002년 국내 벤처투자로 대체투자를 시작한 이후 국내외 부동산, 인프라, 사모투자, 해외 헤지펀드 등 투자 대상 및 규모를 점차 확대하였습니다.

국민연금의 대체투자는 운용수익률을 제고하고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대체투자 투자범위는 국민연금기금 관련 투자정책서인 「국민연금기금운용지침」에 따라 부동산, 인프라, 벤처투자, 기업구조조정조합투자, 사모투자, 헤지펀드, 자원개발, 전술적 운용 활성화 프로그램 등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운용 규모는 2022년 12월 말 기준 기금 적립금의 16.4%인 146조 2천억 원입니다.세부적으로 보면 부동산에 46.4조원, 인프라에 38.5조원, 사모투자에 59.8조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민연금은 대체투자 부문 투자결정의 효율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기금운용본부 내 ‘대체투자위원회’라는 별도의 의사결정기구를 설치하고, 투자대상을 특정하여 그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대체투자 자산의 투자 결정 및 변경 등을 심의·의결합니다. ‘대체투자위원회’는 기금운용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심의대상 사업 소관 실장을 제외한 내부위원 3인과 외부 전문가 3인 등 총 7인으로 구성됩니다.

2022년 말 기준 국민연금이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해외 대체투자 자산으로는 영국의 플럼트리 코트, 독일의 마인제로, 호주의 이스트링크, 싱가포르의 프레이져스 타워, 미국의 원 밴더빌트, 캐나다의 CIBC 스퀘어 등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앞으로도 헤지펀드와 같이 새로운 대체투자 자산군에 대해 탐색하고, 글로벌 운용사·연기금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우량 자산에 대한 투자 기회를 발굴하는 등 추가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Q1-17.뉴스에 많이 나오는 국민연금기금의 책임투자, 스튜어드십 코드가 무엇인가요?

국민연금은 국민의 소중한 노후 자산인 국민연금기금의 관리·운용을 맡은 수탁자로서, 투자자산의 가치를 보호·증진해야 할 책임이 있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증대를 위하여 책임투자 등 수탁자 책임 활동을 이행하고 있음

 

책임투자란 투자의사를 결정함에 있어 기업의 재무적 요소와 함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 Environmental), 사회(S, Social), 지배구조(G, Governance)(이하 ‘ESG’) 등 고려하는 투자로서, 장기적인 수익을 높이고 위험을 낮추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2006년 국내주식 책임투자형 위탁펀드 운용을 시작으로, 2009년 책임투자에 관한 글로벌 기관투자자 협의체인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에 가입하는 등 책임투자 활동 도입 여건을 마련하였습니다.

아울러 2015년 국민연금법 개정을 통해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경우 투자대상과 관련하여 ESG 요소를 고려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2018년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을 통하여 수탁자 책임 활동에 대한 체제를 정립하였습니다. 2019년 「국민연금기금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 수립 등을 통해 책임투자 적용 자산군의 범위 확대 등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란 국민연금이 충직한 집사(steward)로서 자금의 주인인 국민을 위해 투자한 기업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규범을 의미합니다.

국민연금기금은 관리자로서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 및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 활동에 관한 지침」에 따라 투명하고 독립적으로 수탁자 책임 활동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비롯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각 기관투자자는 투자대상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요소를 포함하여 중장기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을 점검합니다.

 

<<출처 : NPS국민연금 홈페이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