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7

냉각에 의한 소화와 물의 소화능력에 대하여 냉각에 의한 소화와 물의 소화능력에 대하여 Ⅰ. 냉각소화원리 화재시의 연소는 발열, 산화반응에서 발생되는 막대한 열중에 상당한 부분은 전도, 대류, 복사 등의 열전달 방식에 따라 외부공간으로 발산된다. 그러나 일부는 귀화하여 미 반응 물질들(연료와 산소)의 산화반응을 위한 충분한 활성에너지원이 되기 때문에 연소가 지속된다. 따라서 발생되는 열을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귀환열을 활성화 에너지의 수준 이하가 되게 할 수 있으면 연소가 중단된다. 열을 제거한다는 것은 곧 냉각을 뜻하며 냉각을 위해서는 열을 식혀주는 물질 곧 냉매가 있어야 한다. 그 냉매로 사용되는 것이 곧 물이다. 물의 냉각 효과는 귀환열의 감소에만 기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료로부터의 가연성 증기나 기체들의 발생률도 감소 또는 중단.. 2022. 12. 19.
Pool Fire에서 화염 높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 Pool Fire에서 화염 높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 Ⅰ. Pool Fire란 pool fire라 하면 흔히 액면화재라고도 하며, 가연성 또는 인화성 액체가 저장탱크 또는 웅덩이에서 일정한 범위 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뜻한다. 액면화재의 연소 속도는 액면강화속도로 표현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화성 물질의 발열량과 증발 온도에 영향을 받으며, 물질마다 액면에서 연소하는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Ⅱ. 화염(Flame)이란 가연성 또는 인화성 액체가 화염의 복사열 대류전열에 의하여 받은 열에 의하여 증발한 가스가 산소와 만나 연소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다양한 색깔을 띠면서 나플 거리면서 깜빡거리면서 빛을 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Ⅲ. 화염이 높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 증발된 가스가 부력의 힘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산소.. 2022. 12. 19.
발화점(IGNITION POINT) 이란? 발화점(IGNITION POINT) 이란? (1) 정의 상온에서 기체, 액체 및 고체의 가연 물질에 불씨를 접촉시키지 않고 가열하였을 경우 자기 스스로 타기 시작하는 최저의 온도로서 착화온도라고도 부른다. (2) 측정방법시 사용되는 용어 고온 화염발화(HOT-FLAME IGNITION) 때때로 샘플이나 그것의 분해물이 산화제와 함께 급격한 자립, 가청기상 반응. 보통 쉽게 눈에 띄는 노란색이나 파란색 화염이 반응과 동반. 저온 화염발화(COOL-FLAME IGNITION) 샘플이나 그것의 분해물이 산화제와 함께 비교적 느린 자립의 거의 빛을 내지 않는 기상 반응, 일반화염은 어두운 곳에서만 볼 수 있음. PRE-FLAME REACTION(예 화염반응) 샘플이나 그것의 분해물이 산화제와 함께 느리고 빛을 .. 2022. 12. 18.
용적률, 건폐율,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의 의미와 산정 방법 용적률, 건폐율,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의 의미와 산정 방법 오늘은 부동산을 조금이라도 접해보신 분들은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용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일반 청약 시장에서는 그 의미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경매, 재건축, 재개발 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한, 꼭 알고 이해하고 계산할 줄 알아야 하는 연면적, 건축면적, 대지면적, 용적률, 건폐율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차이점에 대해서도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연면적이란? - 대지면적 : 땅의 면적. - 건축면적 : 실제로 지어질 건물의 1층 바닥 넓이 - 연면적 : 건물의 모든 층의 면적을 합한 넓이 대지면적 대지면적은 땅의 면적으로 해당 건축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가된 땅의 크기입니다. 면적 산정 기준은 '수평투영면적'.. 2022. 12. 18.
소화수(Fire Water) 적용에 대하여.. (소화수 적용 기준) 소화수(Fire Water) 적용에 대하여.. (소화수 적용 기준) 1. 소화설비 적용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석유 화재에 널리 쓰이는 소화약제는 물과 포 소화약제이다. 분말 및 가스 소화약제는 소규모의 화재 및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화재 진압에 효과가 있다. 물은 석유 관련 시설물의 소화 시 화세 제어에 이용되며 화염 접촉과 고강도의 열복사 및 대류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제한적으로 물을 소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미세한 물분무 설비일 경우에 한하며 인화성 액체 (인화점 37.8℃ 이하)의 소화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포말은 소방 및 소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탱크 화재 시 액면을 포말로 피복하여 복사로 인한 액체의 발화 .. 2022. 12. 17.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이란? ▣ 투기과열지구이란? 해당 지역의 주택 가격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현저히 높은 지역으로서 그 지역의 청약 경쟁률 · 주택 가격 · 주택보급률 및 주택 공급계획 등과 지역 주택시장 여건 등을 고려하였을 때 주택에 대한 투기가 성행하고 있거나 성행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말한다(주택법 제63조). 지역을 지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주택공급이 있었던 직전 2개월간 해당 지역에서 공급되는 주택의 청약경쟁률이 5대 1을 초과하였거나 국민주택규모 이하 주택의 청약경쟁률이 10대 1을 초과한 곳 ② 주택의 분양계획이 지난달보다 30퍼센트 이상 감소하였거나, 주택건설사업계획의 승인이나 건축허가 실적이 지난해보다 급격하게 감소하여 주택공급이 위축될 우려가 있는 곳 ③ 신도시 개발이나 주택의 전매행위 성행 등으로.. 2022. 12. 17.
국내 소방용품에 대한 형식승인, 성능인증, 제품검사 의미, 관련 법규 및 대상품목 summary (feat. 국내소방법, 소방산업기술원) 국내 소방용품에 대한 형식승인, 성능인증, 제품검사 의미, 관련 법규 및 대상품목 summary (feat. 국내소방법, 소방산업기술원) 국내 소방설계 시 사용되는 각종 소방 equipment의 형식승인대상소방용품 및 성능인증대상 소방용품 중에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대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형식승인대상소방용품은 의무적으로 소방산업기술원에서 형식승인을 득한 후 제품검사를 받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2. 성능인증대상소방용품의 경우 신청인이 요청하는 경우 소방산업기술원에서 관련 기술기준에 따라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성능인증을 해 주는 제도이지만, 일부 소방용품의 경우 해당 화재안전기준에서 제품검사에 합격한 제품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요구(아래 테이블의 성능인정대상소방용품 중 “●”해.. 2022. 12. 16.
[부동산 지식] LTV, DTI, DSR의 의미와 계산 방법 [부동산 지식] LTV, DTI, DSR의 의미와 계산 방법 오늘은 우리가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꼭 알아야 하는 용어! LTV, DTI, DSR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Load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주택담보인정비율 ▣ LTV의 정의 LTV란 Load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주택담보인정비율을 말합니다. 즉, 주택의 담보가치에 따른 대출금의 비율로, 담보물건의 시세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주택에 대한 가치를 기준으로 대출금액의 한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담보의 가치가 높을수록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이러한 주택의 가치는 KB 국민은행 부동산 시세, 한국 감정원 시세, 국세청 기준시가, 감정평가 법인에 의뢰한 감정 가격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 2022. 12. 15.
소방 시스템 (Fire Fighting System)에 대한 Leak Test 요구사항 (feat. NFPA, API, ASME) Leak Test Requirement for Piping of Fire Fighting System 소방 시스템 (Fire Fighting System)에 대한 Leak Test 요구사항 (feat. NFPA, API, ASME) Sprinkler System In "NFPA 13" The test should be made at no less than 200 psi(1,379 kPa) for 2 hours or 50 psi(345 kPa) above static pressure, where static pressure is in excess of 150 psi(1,034 kPa) for 2 hours. Additionally, dry pipe systems require an air test afte.. 2022. 12. 15.
[부동산 지식] 임대차 제도 개선 및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의 모든 것! (feat. 질의응답) [부동산 지식] 임대차 제도 개선 및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의 모든 것! (feat. 질의응답) 임대차 제도 개선 및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의 모든 것! 오늘은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이 무엇인지? 어떻게 갱신을 받거나 인정받을 수 있는지? 임대차계약갱신청구권에 대한 질의응답 (Q&A)를 알아보겠습니다.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이란? 임대차 만료 기간이 다가올 때 임대인과 임차인은 임대차계약의 조건을 변경하거나 기존의 임대차와 동일한 계약조건으로 합의 갱신할 수 있다. 다만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계약 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는 이를 거절하지 못한다. 법령 : 주택임대차보호법 (약칭 : 주택임대차법) 주요조문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 2022. 12. 14.
[소방 용어] 방화구획, 방호구역, 내화구조, 방수구역, 완전구역, 경계구역, 제연구역, 제연경계 구분하기 - 1탄! 소방법규 구역용어 구분하기 - 1편 방화구획, 방호구역, 내화구조 알아보기! ▣ 건축물 차원의 방화 요건 건축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는 위험은 화재다. 따라서 건축법(「건축법」,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은 화재를 예방하고 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들을 건축물의 용도 및 건축규모 등에 따라 건축 허가요건으로 정하고 있다. 방화 요건은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에 집중하여 관리하고 있다. 목적상으로의 구분 화재의 예방 확산 방지 구조적 차원에서의 구분 내화구조와 불연 재료로 된 건축물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 방화 요건 규정은 내용상으로 볼 때, 내화 구조 건축물의 방화구획의 설치 내화 구조가 아닌 1,00.. 2022. 12. 14.
[소방법 개정] 화재안전기준(NFSC)이 화재안전성능기준(NFPC)과 화재안전기술기준(NFTC)으로 이원화 (2022년 12월 1일~) [소방법 개정]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2022년 12월 1일~) 화재안전성능기준(NFPC)과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안녕하세요~ '개과천선'의 '톰'입니다. 오늘은 2022년 12월 1일부터 개정/재정된 소방법 중에 화재안전기준(NFSC)의 이원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이 소방청 보도자료를 먼저 보겠습니다. 큰 제목을 보게 되면, 22년 12월 1일부터 화재안전기준을 성능·기술기준으로 이원화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기존에는 소방시설에 대한 안전기준을 화재안전기준(NFSC)을 통하여 법적 사항들을 재정하고 따르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법적 근거 중에 기술적인 부분은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변경되고 적용되나, 이 속도를 법적 내용을 개정하는 속도가.. 2022. 12. 13.
[가스감지기] 독성 가스 감지기(Toxic Gas Detector) 대상물질, 설치기준, 배치기준 (feat.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KOSHA) 독성 가스 감지기(Toxic Gas Detector) 대상물질, 설치기준, 배치기준 (feat.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KOSHA) ◈ 대상물질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가스누출감지 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P-166-2020)』 (다) “독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 등”이라 함은 독성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하고, 미리 설정해 놓은 농도에서 자동적으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감지기와 수신경보기 등으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라) “독성물질”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의 제7호에서 정한 급성 독성 물질로서 대기 중에서 기체, 증기, 흄, 미스트 등의 상태인 것을 말한다. (마) “경보 설정값 (Alarm set point.. 2022. 12. 12.
특수가연물 정의, 종류, 기준수량, 보관방법, 취급기준 (feat. 소방기본법, 소방기본법 시행령) 방화구획, 방호구역, 내화구조, 방수구역, 완전구역, 경계구역, 제연구역, 제연경계 구분하기! 방화구획, 방호구역, 내화구조, 방수구역, 완전구역, 경계구역, 제연구역, 제연경계 구분하기! ▣ 건축물 차원의 방화 요건 건축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는 위험 cookyjsh.com 특수가연물 정의, 종류, 기준수량, 보관방법, 취급기준 (feat. 소방기본법, 소방기본법 시행령) 안녕하세요, '개과천선'의 '톰'입니다~ 오늘은 국내에서 소방 설계를 진행하며 알아두어야 하는 중요한 내용 중, 특수가연물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특수가연물에 대한 정의, 종류 및 기준수량 등을 알고 있어야 어떤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소나 건물의 소방설계 적용기준을 잡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2022. 12. 11.
[가스감지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Flammable Gas Detector) 대상물질, 설치기준, 배치기준 (feat.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KOSHA) 가연성 가스 감지기(Flammable Gas Detector) 대상물질, 설치기준, 배치기준 (feat.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KOSHA) ◈ 대상물질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가스누출감지 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P-166-2020)』 (가) “인화성 가스누출감지 경보기 등”이라 함은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하고, 미리 설정해 놓은 농도에서 자동적으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감지기와 수신 경보기 등으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나) “인화성 가스”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의 제4호의 인화성 액체 중 인화점이 35 ℃ 이하인 물질의 증기와 제5호에서 정한 인화성 가스 등을 말한다. 다만, 인화점이 35℃를 .. 2022.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