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7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6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6편 □ 화재안전기준 관련 질의 답변 1. 건축허가 동의 및 부동의 관련 붙임 2 검토의견서 통보가 있는데 동의 시에도 검토의견서를 붙임으로 첨부해야 되는지? 검토의견서는 「소방시설법」 제6조 제5항에 따른 검토 의견이 있는 경우 제출 1. 피트 공간(EPS, TPS, PS실)은 ‘파이프 덕트, 덕트 피트’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소방시설 적용 제외 장소에 포함되지 아니함. 연면적에 해당되지 않는 옥상에 삼각 형태의 지붕아래 공간(가로·세로·높이 1.2m 이상)에 출입문을 설치하고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라면 여기도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해야 되는지? 2021.4.29. 시달된 “소방시설 관련 업무처리 지침 알림(소민센1)”에 따르.. 2023. 1. 23.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5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5편 □ 기타 법령 개정 관린 질의 답변 1. 건축허가 동의 및 부동의 관련 붙임 2 검토의견서 통보가 있는데 동의 시에도 검토의견서를 붙임으로 첨부해야 되는지? 검토의견서는 「소방시설법」 제6조 제5항에 따른 검토의견이 있는 경우 제출 2.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을 소방시설 착공신고 시에 받아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을 하지 않아도 착공신고를 내주어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화재예방법」 제29조 제1항에 따라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기간은 소방시설공사 착공신고일부터 건축물 사용승인일까지이며,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신고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7조 제1항에 따라 선임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 2023. 1. 23.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4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4편 □ 소방시설 자체 점검 관련 질의 답변(국민신문고) 1. 「소방시설법」이 개정되면서 종전법에 따라 설치했던 자동화재속보설비가 자진 설비가 되어 자체 점검이 제외되는지? 자동화재속보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도 점검을 해야 합니다. 만약, 미 설치 대상에 해당되어 점검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관할 소방서와 협의 후 해당 시설을 철거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소방서는 철거 사실 확인 및 소방시설 정리) 2. 소방시설공사를 한 자 또는 소방공사감리를 한 자가 소방시설관리업자와 같은 경우에는 최초 점검에 참여 가능한지? 소방시설공사를 한 자 또는 소방공사감리를 한 자의 자체점검 참여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 2023. 1. 23.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3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3편 □ 소방시설 자체 점검 관련 질의 답변(소방공무원) (181~262번까지) 181.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4 제3호 가목 4)에서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범위는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공동주택 중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 제1호 다목(다세대주택)또는 라목(기숙사)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공동주택으로 한정한다고 되어 있음. 기존 아파트에 대한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해당 여부 및 자체 점검 보고 지속 여부? 1)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4 제3호가목4)에서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공동주택에 한정한다고 규.. 2023. 1. 23.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2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2편 □ 소방시설 자체 점검 관련 질의 답변(소방공무원) (91~180번까지) 91. 소방시설등 자체 점검 실시결과 보고서를 소민터로 제출 시 이행계획서나 이행 완료 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는 서식이 없습니다. 시스템정비를 요청합니다. 시스템 정비 완료됨(업로드 기능 정비) 2022.12.26.부터 사용 가능 92. 복합건축물 건축물 관리대장상 2층(공동주택, 다세대주택) ~ 6층(공동주택, 다세대주택) 표기 대상 세대 점검 여부? 주택으로 사용하는 층수가 5개 층개층 이상으로 아파트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세대 점검 대상이나 4개 층개층 이하인 다세대주택은 자체 점검 대상에서 제외 93. 공공기관(군부대 등) 자체 점검 미실시 또는.. 2023. 1. 23.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1편 [소방법 개정] 소방시설법령 개정 시행 관련 주요 질의 회신(Q&A) - 1편 □ 소방시설 자체 점검 관련 질의 답변(소방공무원) (1~90번까지) 1. 공실, 폐쇄 등은 「소방시설법 시행령」 제33조 면제 및 연기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지? 해당된다면 제4호 “그 밖의 경우에 해당” 되는지? 「소방시설법 시행령」 제33조는 소방시설등의 자체 점검 면제 또는 연기 사유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제4호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재량 범위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공실ㆍ폐쇄 등의 사유는 그 밖에 관계인이 운영하는 사업에 부도 또는 도산 등 중대한 위기가 발생하여 자체 점검을 실시하기 곤란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2. 1) 신축, 증축, 개축, 리모델링 등으로 소방시설이 신설되는 경우 그 .. 2023. 1. 23.
전동기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1. 펌프의 전용 펌프는 전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등을 한 대의 겸용펌프를사용하게 되면 펌프의 용량이 커져서 펌프를 2대 이상 으로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 병렬운전 시의 조건이 한 대의 펌프로 운전하는 조건과 달라질 수 있으며 펌프가 고장 나는 경우 모든 설비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위험믈 분산 시키는 차원에서도 각 설비별 전용펌프를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기(Motor) 소화펌프 구동용 전동기는 기동회전력이 크고 기동전류가 적게 소모되는 유도전동기가 많이 사용된다. 전동기(Motor)의 출력 산출식(유도식) ◦ 펌프의 수동력(Lw) : 펌프에 의해서 액체(소화수)에 주어지는 동력 Lw = 수동력(kW) Υ = 물의 비중량(k.. 2023. 1. 20.
소방 펌프의 순환배관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소방펌프의 순환 배관, 릴리프밸브, 체절운전 (Fire Water Pump) 1. 순환배관 가) 개요 펌프가 소화용수가 방출되지 않은 상태로 운전을 오래 하게 되면 내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유체가 증발하여 기포를 형성하게 되며, 이 기포가 펌프내부의 높은 압력지역에 도달하면 기포가 파괴되면서 소음과 진동이 수반되고 기포가 파괴되면서 임펠러나 케이싱에 국부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체절운전은 옥내소화전설비가 작동하면 소화용수가 개방된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통하여 방사되므로 발생할 경우가 없지만 정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펌프 운전 시에는 소화용수의 방출이 없으므로 발생한다. 만일의 고장 등에 의한 원인에 대비하여, 적은 비용을 투자하여 펌프의 안전을 보장받도록 할 수는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 2023. 1. 19.
소방펌프의 성능시험배관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Fire Water Pump System] 성능시험배관 1. 성능시험배관 정기적으로 펌프의 성능을 현장에서 정기적 또는 필요시 시험하여 펌프의 성능곡선의 불량 및 방사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펌프의 토출 측의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시키고, 관로에는 정격토출량의 175%를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설치한다. 정격토출압력은 당해 설비의 양정 계산 시 총양정을 10:1로 환산한 압력(kg/㎠)이며 정격토출량은 당해 설비에 필요한 펌프의 분당토출량(ℓ/min)이다. 충압펌프의 경우에는 성능시험배관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그림 1) 2. 유량계 1) 차압식 유량계의 측정원리는 관로상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이를 유량으로 환산하여 게산하는 방식이다. 2) 유량계를 통과하는 .. 2023. 1. 18.
소방펌프의 물 올림 장치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Fire Water Pump System] 물 올림장치 (호수조, Priming Tank) 1. 개요 물 올림장치는 원심펌프의 특성상 흡수배관 내의 압력을 진공가까이 떨어뜨릴 수 없기 때문에 배관 내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할 수 없다. 또한, 물 올림탱크를 설치할 경우에는 펌프의 흡수배관에 반드시 후드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야, 흡수배관 내에 채워진 물이 누설될 염려가 없다. 물 올림장치는 물 올림탱크, 배수관, 오버플로우용 배수관, 물 올림관, 감수경보장치의 수신부와 물 올림탱크에 물을 자동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장치등으로 구성된다. 2. 기능 물 올림장치는 수평회전축 펌프를 사용한 지하수조방식 즉,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아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에 필요한 설비로 주기능은 펌.. 2023. 1. 17.
소방펌프의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Fire Water Pump system] 소방펌프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스위치 세팅 방법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라 함은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소방용 펌프의 정확한기동 및 정지는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기능에 좌우되며,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기능에 대한 신뢰성은 소화설비 전체에 대한 신뢰성과 같다. 또한 압축된 공기가 배관 내로 압축에너지를 공급하여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에너지 공급원이기도 하다.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는 펌프를 이용하여 가압송수장치의 토출 측 배관에 연결되어 소화펌프를 자동으로 기동하고 정지시키는 장치는 옥내소화전설비(일부 소방대상물은 예외)를 포함한 수계(水系) 자동식 소화.. 2023. 1. 16.
소방펌프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스위치 세팅방법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Fire Water Pump System]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스위치 세팅방법 1. 압력스위치 1) 유체의 압력을 스위치 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펌프의 기동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용하는 방식으로 주로 저압에서 사용된다. 2) 눈금표시부에는 압력범위와 차압의 압력표시부가 있는데 표시의 압력지침은 상단부의 조정나사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압력스위치의 Setting 방법 일반적으로 설계 시 정형화된 펌프의 세팅(Setting) 방법은 없으나 압력챔버상의 압력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 • 압력스위치에는 “RANGE”와 “DIFF"의 눈금이 있으며 압력스위치 상단부의 나사를 이용하여 조정하게 되어.. 2023. 1. 15.
원심펌프(Centrifugal Pump)의 분류 (소방펌프,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원심펌프의 분류 (centrifugal pump) 원심펌프(Centrifugal Pump)란 펌프 회전 시의 토출량이 부하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비용적(Turbo) 형의(Turbo) 펌프로서 이 Impeller (회전차)의 회전으로 유체에 회전운동을 주어 이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의 펌프이다. 펌프 동체에 물을 채운 후 Impeller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중심부의 물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며,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어 진공에 가까워진다. 이때 대기압에 의해 Impeller 중심을 향해 흡입구로부터 계속해서 물이 흘러들어오게 되며 이후 흡입배관으로부터 물을 항상 보충하여 주면 물은 연속적으로 흡입되고 이후 속도에너지에 의해 가압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2023. 1. 14.
소방펌프의 시스템 구성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Fire Water Pump System] 소화펌프의 시스템 구성 1. 개요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유류화재, 전기 화재 및 특수화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화재를 진화하는 데는 물을 이용한 소화설비가 가장 효과가 크고 경제적이며, 소화저수조에서 필요한 장소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소방펌프는 물소화설비에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장비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펌프는 전동모터, 내연기관 등 구동부를 통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받아서 액체에 압력과 속도를 주어 그 액체를 관을 통하여 높은 곳으로 올리거나 또는 먼 거리로 수송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장치이며, 소방펌프(Fire Pump)는 소화용 저수조의 물을 관(Pipe)을 이용하여 필요한 압력과 유량을 공급하는 .. 2023. 1. 13.
소방펌프의 특성 및 특성곡선 (소화펌프, Fire Water Pump, Fire Water Supply System) 소방펌프의 특성 (1) 소방펌프의 조건 : NFTC 102(이하 동일) 2.1.1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펌프 정격토출량은 최대로 소화전 2개(층별)의 소요방사량이며,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정격토출량은 기준개수의 헤드 소요방사량이 된다. 따라서 펌프동작시 최소 방사유량은 소화전 1개(또는 헤드 1개)의 방사량부터 정격토출량을 초과하여 방사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 공업용 펌프와 달리 이와 같이 소화설비용 펌프는 방사량이 매우 가변적이므로, 정격토출량에서는 규정방사압을 유지하여야 하면서 방사량이 정격점보다 지나치게 작을 경우와 방사량이 정격점을 초과할 경우 양정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NFTC 102의 조건은 소방펌프의 경우 다양한 유량변동에.. 2023. 1. 12.